티스토리 뷰

목차


    🔒 기아차 차일드락(키즈락) 설정 방법 | 전기차 EV모델·K5·스포티지 등 뒷문 잠금 완벽 정리

     

     

    아이와 함께 차량을 이용한다면 꼭 알아야 할 기능이 있습니다. 바로 기아차 차일드락(Child Lock), 또는 키즈락(Kids Lock)이죠. 이 기능은 아이가 뒷좌석에서 문을 함부로 여는 걸 방지하는 필수 안전장치입니다.


    🚗 차일드락(키즈락)이란?

    기아차 차일드락(키즈락) 설정 방법
    기아차 차일드락(키즈락) 설정 방법

    차일드락은 뒷좌석에서 문을 열 수 없게 잠그는 장치로, 아이의 안전을 위해 대부분의 기아 차량에 기본 탑재되어 있습니다.

    • 적용 위치: 뒷문 좌우
    • 형태: 기계식 / 전자식 두 가지
    • 효과: 내부 손잡이 작동 차단 (외부는 정상 작동)

    🔧 기계식 차일드락 설정 방법

    기아차 차일드락(키즈락) 설정 방법
    기아차 차일드락(키즈락) 설정 방법

    기아차의 대부분 모델(모닝, K3, K5, 스포티지, 쏘울 등)은 아래 방법으로 기계식 차일드락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

    1. 뒷문을 엽니다.
    2. 문 측면(걸쇠 아래쪽)을 보면 🔑 작은 스위치가 있습니다.
    3. 열쇠나 드라이버를 이용해 LOCK 방향으로 돌립니다.
    4. 문을 닫고, 안쪽 손잡이로 열리지 않으면 설정 완료!

    해제 시에는 반대 방향(UNLOCK)으로 돌리면 됩니다.

    💡 TIP. 아이가 양쪽 좌석을 번갈아 타면, 양쪽 문 모두 설정하세요.
    🔑 뒷문 옆면에 위치한 차일드락 스위치 (K5 기준)

    ⚙️ 전자식 키즈락 설정 방법 (전기차 EV·K8·쏘렌토 등)

    기아차 차일드락(키즈락) 설정 방법
    기아차 차일드락(키즈락) 설정 방법

    EV6, K8, EV5 등 최신 기아차에는 전자식 키즈락이 탑재되어 있습니다. 물리 스위치 대신 버튼으로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.

    📍 설정 방법

    1. 시동을 켭니다.
    2. 센터콘솔 또는 운전석 문 패널의 ‘CHILD LOCK’ 버튼을 누릅니다.
    3. 계기판에 🔒 차일드락 표시등이 점등되면 설정 완료!

    🔓 해제 방법

    동일한 버튼을 한 번 더 눌러 표시등이 꺼지면 해제됩니다.

    ⚙️ EV 기준 전자식 키즈락 버튼 위치 (EV5 기준)
    📱 기아 커넥트 앱에서도 차일드락을 원격 제어할 수 있습니다.
    (경로: 설정 → 차량 제어 → 차일드락)

    🚫 차일드락 작동 안 될 때 점검 방법

    • 🔋 차량 배터리 전압이 낮으면 전자식 키즈락 작동이 불안정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🚪 문이 완전히 닫히지 않으면 작동 안 될 수 있음.
    • 🧰 장시간 미사용으로 접점이 불량할 경우, 정비소 점검 권장.
    • 🔑 기계식의 경우 방향(LOCK ↔ UNLOCK) 반대로 돌리지 않았는지 확인.

    ❓ 자주 묻는 질문 (FAQ)

    Q1. 기아차 차일드락은 앞문에도 설정할 수 있나요?

    아니요. 차일드락은 안전을 위해 뒷문에만 적용됩니다.

    Q2. 전자식 키즈락은 시동을 끄면 풀리나요?

    아니요. 대부분의 모델은 시동이 꺼져도 잠금 상태 유지됩니다.

    Q3. 앱에서 차일드락을 해제할 수 없어요.

    일시적인 통신 오류나 앱 버전 문제일 수 있습니다. 앱 재실행 또는 차량 재시동 후 다시 시도해보세요.

    Q4. 차일드락을 걸면 창문도 잠기나요?

    차일드락은 문 손잡이만 잠그는 기능이며, 창문 잠금은 별도의 ‘윈도우락’ 버튼으로 제어합니다.


    🔗 관련 링크

    기아자동차 공식 홈페이지
    차량별 차일드락 지원 모델 확인
    🚘
    기아 서비스센터 예약
    차일드락 점검 및 수리 신청
    🧰

    기아차 차일드락, 기아 키즈락, 기아 뒷문 잠금, 기아자동차 문잠금 설정, EV6 차일드락, K5 차일드락, 기아차 키즈락 위치, 기아 커넥트 앱 차일드락, EV5 키즈락 설정, 기아 차문 잠김, 어린이 안전 잠금장치, 기아자동차 안전기능

     

    반응형